😀 4/3일 새벽5시 트럼프 대통령 연설 및 상호관세 관련 직접 발표 및 즉각 시행 예정
"4/2일은 미국 해방의 날"
✅ 구체적인 수치는 아직 알려져있지 않지만, 시장에서 바라보는 수치는 미국의 거의 모든 수입품에 20%의 단일 관세를 부과하는 사실상 "보편관세" 를 검토할것으로 예상
📂 관세계획은 결정되었지만, 여전히 계획은 유동적
🟢CNBC 는 트럼프가 고민하는 옵션은 3가지
🟢일괄 20%관세(보편관세)
🟢3개그룹(낮음/보통/높음)으로 나눠 부과하는 방안
🟢국가별로 부과하는 방안
대부분 수입품은 적어도 20% 정도 관세를 부과
미국무역대표(USTR) 은 일부 국가를 상대로 미국에 수출하는 제품 전반에 관세를 부과하는 세번째 선택지 또한 준비중
해당 그룹에 속한 국가들은 관세율은 20% 보편 관세보다 낮을 가능성이 크다는 입장
📂 월가에서 바라보는 상호관세율
🟢매우 공격적이라면 15~18%
🟢다만 향후 3~6개월동안 협상을 통해 관세를 내리고 일부 면제하면서 "공젹적인 수준" 인 12% 로 떨어뜨릴것으로 전망
🟢상호관세율 10% 수준이라는 의견도 있음
🟢도이치뱅크 설문조사에는 중국에 대해서는 50% 관세, 다른 국가는 10% 미만관세를 예상
📂 백악관의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이 어제 발표한 관세 상황 브리핑
🟢상호관세는 즉각 발표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결정을 내렸고, 연설에서 발표할 예정
🟢트럼프 대통령은 항상 전화를 받는것에 열려있으며, 관세에 대해 논의한 국가가 많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신경쓰는 국가는 미국이다.
🟢수입 자동차 25% 관세는 3일부터 시행
❔ 관세 발표가 랠리 촉발할까?
🟢시장은 불확실성을 싫어하며, 불확실성이 해소되기에, 단기적으로 바닥일 가능성이 있다.
🟢관세 발효 이후 시장은 어느정도 가시성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를 통해 일부 매도 압박을 덜 받게 될것으로 예상
🟢계절적으로 4월은 유리한달, 통상 3월에 큰폭으로 하락하면, 4월은 크게 반등한적이 많음
🟢단 경기가 둔화하고 있고, 소비와 기업 이익이 흔들리고 있기 때문에, 단기 랠리에 그칠것이라는 주장도 있음
➡️ 우리는 아직 숲에서 다 나온것이 아니며, 결국은 소비가 이런 관세에도 유지될것인가에 달림
참고자료
#국제

5186
2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