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건영님이 페이스북에 쓰신 에쎄이입니다.
내용이 좋아서 공유합니다.
_____
뉴욕 증시가 심상치 않네요.
‘풋풋풋’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매우 강한데도 불구하고… 적어도 트럼프 풋에서는 상당한 실망감을 느낀 듯합니다.
물론 트럼프는 지금 약간의 고통을 감수하면, 향후에 훨씬 더 지속가능하고 멋진 성장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라는 얘기를 하고 있죠.
그렇지만 지금의 그 약간의 고통이… 적어도 시장이 지금까지 의존해왔던 “풋풋풋” 마인드를 흔들어버리는 것이라면, 약간으로 끝나지 않을 수 있죠.
---
잠시 이런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자산 가격이 소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이게 참 판단하기 어려운데요.
이런 겁니다.
이번 달에 주가가 100만 원 올라서 100만 원 소득이 생긴 것과, 급여로 100만 원을 받은 것… 같을까요? 다를까요?
물론 명목상의 100만 원은 같지만, 다른 점이 있죠.
급여는 항상 소득이죠. 다음 달에도 일자리를 계속 가져갈 수만 있다면 그 100만 원은 향후에도 예측 가능한 소득이 되기 때문에 소비에 쓰일 수 있을 겁니다.
그런데, 이번에 운빨로 100만 원 벌었다… 다음 달에는 벌 수 있을지 아닐지 알 수가 없다… 라면 그 돈을 소비에 쓰기가 쉽지 않겠죠.
결국 자산 가격의 상승이 일반 고용의 창출처럼 소비로 이어지기는 쉽지 않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됩니다.
---
그런데요, 자산 가격의 상승이 일종의 ‘항상 소득’처럼 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떨어지지 않고 계속 오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