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4일 ( 정오 ) 간추린 코인뉴스
[만트라 CEO OM 급락, 팀과 무관... 대규모 청산 이유 파악 중]
실물자산(RWA) 중심 레이어1 블록체인 만트라(OM) 가격 급락에 대해 JP멀린 만트라 CEO가 입장을 밝혔다. 그는 X를 통해 OM 급락은 대규모 강제 청산으로 인해 발생했다. 우리는 이러한 대규모 강제 청산 이유를 파악 중이다. 만트라 텔레그램은 삭제되지 않았다. 우리는 도망가지 않았으며, 팀 물량은 여전히 보관 중이다라고 밝혔다. 앞서 OM은 6.3 달러에서 0.5 달러 이하로 급락했으며, 시가총액(시총)이 90% 이상 증발했다. 이후 커뮤니티에서는 러그풀(먹튀) 우려가 확산된 바 있다.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OM은 1.04 달러에 거래 중이다.
[美 전자제품 관세 혼란에...트럼프 전자제품 면제 아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관세 정책에 후퇴가 없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최근 발표한 것은 관세 예외가 아니다. 이들 제품은 기존 20% 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우리는 다가오는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와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들여다볼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상호관세에서 제외되는 품목에 반도체 등 전자제품을 명시했고, 관세 징수를 담당하는 세관국경보호국(CBP)이 같은 날 이를 공지했다.
[자오창펑 거래소 상장 프로세스 철폐해야]
자오창펑 바이낸스 설립자 겸 전 CEO가 OM 토큰 급락과 관련해 내러티브를 쫓으면 안 된다. 기본 원칙과 사용자, 매출, 이익 등을 기준으로 프로젝트를 판단해야 한다. 아울러 중앙화 거래소는 더 이상 자체 상장 프로세스를 운영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투자자들이 거래할 상품을 직접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은 다음과 같다. (한국시간 기준) -4/15 0100 FOMC 바킨 연설, 0700 FOMC 하커 연설, 0840 FOMC 보스틱 연설 -4/16 0035 FOMC 바킨 연설, 0810 리사 쿡 연준 이사 연설 -4/17 0215 미 연준 의장 제롬 파월 연설, 1000 한국 금리, 2130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215 유로존 금리결정 -4/18 미국 증시 휴장(부활절), 0045 미 연준 부의장 마이클 바 연설 -4/19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메리 데일리 연설
[만트라 OM 급락, 거래소 강제청산이 원인...시장조작 가능성]
실물자산(RWA) 중심 레이어1 블록체인 만트라(OM)가 블로그를 통해 간밤에 발생했던 OM 급락 사태는 복수의 중앙화 거래소가 무분별하게 강제청산을 한 것이 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거래소 측은 사전 경고 없이 유동성이 낮은 일요일 저녁(현지시간) 강제청산을 진행했다. 이것이 단순 실수인지, 의도적인 시장 조작인지는 아직 불분명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만트라 팀과 어드바이저, 투자자들은 할당받은 OM 토큰을 매도하지 않았고, 이 물량은 여전히 락업 상태다. 모든 월렛 주소는 공개돼 있기 때문에 누구나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곧 커뮤니티 미팅을 열어 자세한 내용을 공유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OM은 토큰 가격이 급락하면서 시가총액이 90% 이상 증발했다. 이를 두고 커뮤니티에서는 러그풀(먹튀), 마켓메이킹 알고리즘 오류, 해킹 등을 의심하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다.
[이번 주 토큰 언락 일정...$3.3억 TRUMP 등]
드롭스탭(dropstab)에 따르면, 이번 주 언락되는 주요 토큰 물량은 다음과 같다. WLD: 4/15 09:00, 약 502만개 언락, $372만, 총 유통량의 0.40% STRK: 4/15 21:00, 약 1.28억개 언락, $1597만, 총 유통량의 4.41% ARB: 4/16 09:00, 약 9365만개 언락, $2818만, 총 유통량의 2.03% VANA: 4/16 09:00, 약 124만개 언락, $657만, 총 유통량의 4.14% PRCL: 4/16 09:00, 약 1.61억개 언락, $959만, 총 유통량의 58.88% DBR: 4/17 09:00, 약 12.3억개 언락, $2783만, 총 유통량의 68.38% APE: 4/17 15:00, 약 1538만개 언락, $652만, 총 유통량의 2.04% UXLINK: 4/18 09:00, 약 3333만개 언락, $1624만, 총 유통량의 9.86% IMX: 4/18 14:00, 약 2731만개 언락, $1128만, 총 유통량의 1.52% TRUMP: 4/18 15:00, 약 4000만개 언락, $3.3억, 총 유통량의 20% ZKJ: 4/19 09:00, 약 1550만개 언락, $3508만, 총 유통량의 25.66% XDAO: 4/20 09:00, 약 644만개 언락, $3.32억, 총 유통량의 25.29%
[페이코인 크립토 마스터카드 4/30 출시]
페이코인(PCI)으로 실물결제가 가능한 직불카드가 마스터카드 브랜드로 출시된다고 아시아경제가 전했다. PayProtocol AG는 스위스 소재 네오뱅크인 SR Saphirstein AG와 서비스 계약을 체결하고, 오는 30일 페이코인 크립토 마스터카드를 공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카드는 이용자의 페이코인(PCI)을 담아 결제하는 방식이며, ETH, USDC 등도 지원할 예정이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 15]
가상자산 종합 정보플랫폼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15를 기록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 코인(스테이블·랩트 코인 제외)과 비트코인 간 가격 등락률을 비교해 책정된다. 상위 100개 코인 중 75%의 상승률이 지난 90일 동안 비트코인 상승률보다 높으면 알트코인 시즌, 반대의 경우 비트코인 시즌으로 판단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알트코인 시즌으로 본다.
[포필러스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활성화, 상호운용성 필수적”]
글로벌 암호화폐 리서치 업체 포필러스가 최근 아시아 스테이블코인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상호운용성이 필수적이다 보고서를 통해 “아시아 국가들은 이제 스테이블코인의 성장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며 그 이점이 분명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온체인에서 사용되어야 하며, 이더리움, 솔라나 등 여러 블록체인 생태계에 어떻게 활용되게 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다. 그러기에 상호 운용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라고 전했다.
[노무라홀딩스 자회사 등 5개 주소, 사흘간 OKX로 $1.43억 OM 입금]
만트라(OM) 급락 전 익명 5개 주소가 3일 동안 2,440만 OM(1.43억 달러 상당)를 OKX에 입금했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더 데이터 너드가 전했다. 해당 주소 중 하나는 일본 금융그룹 노무라홀딩스의 암호화폐 투자 자회사인 레이저디지털로 확인됐다. 코인마켓캡 기준 OM은 24시간 전 대비 86.94% 내린 0.822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1
20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