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Count2
9일 전
4월 10일 ( 정오 ) 간추린 코인뉴스 [분석 바이낸스 현물 거래량 우위 심화] 바이낸스가 거래량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크립토퀀트가 X를 통해 전했다. 지난 2월 3일 이후 비트코인 현물 거래량은 440억 달러에서 100억 달러 수준으로, 알트코인 현물 거래량은 1,220억 달러에서 230억 달러로 감소했다. 해당 기간 바이낸스의 BTC 현물 거래량 점유율은 49%, 알트코인 현물 거래량 점유율은 64%를 기록했다.   [SEC 위원장 후보 폴 앳킨스, 美 상원 본회의 표결 통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지명자 폴 앳킨스가 미국 상원 본회의 표결을 찬성 51:반대 45로 통과했다고 크립토인아메리카 진행자 엘리토어 테렛이 전했다. 향후 하원 최종 투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미 하원 금융위 디지털자산 소위원회, 크립토 시장 구조 법안 위한 청문회 개최]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디지털자산 소위원회가 크립토 시장 구조 법안(Crypto Market-Structure Legislation)의 아이디어를 공유 및 논의하기 위한 청문회를 9일(현지시간) 진행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이날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디지털자산 소위원회 위원장 브라이언 스테일(Bryan Steil)은 청문회에 참석, 스테이블코인 법안은 트럼프 대통령의 첫번째 목표 중 하나로, 현재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암호화폐 시장 구조 법안은 트럼프 암호화폐 정책의 후반부에 해당되는 것으로, 완전히 규제되는 미국 암호화폐 시장을 위한 법안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위원장 프렌치 힐은 “위원회는 정부기관부터 업계 리더까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해 시장 구조 법률을 더욱 정교하고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들의 의견을 반영한 입법 논의 초안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美관세에 보복않는 국가에 90일 상호관세 유예] 연합뉴스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관세에 보복하지 않는 국가에 90일 관세 동결을 승인하고 상호 관세율을 10%로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관세 동결 국가에 중국은 제외됐으며, 중국에는 125% 관세율이 적용된다.   [FDUSD 발행사, 저스틴 선 명예훼손 혐의 소송 제기] 앞서 트론 설립자 저스틴 선이 홍콩 암호화폐 수탁기관이자 FDUSD 발행사인 퍼스트 디지털 트러스트(FDT)가 사실상 부실 상태라고 지적한 가운데, FDT가 저스틴 선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발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명예훼손 소송의 첫 단계인 소환장은 지난주 말 제출됐으며, 이들 기업은 홍콩 고등법원에 저스틴 선의 추가 발언 금지 명령을 요청했다. 첫 법정 심리 날짜는 미확정 상태다. 이와 관련해 저스틴 선은 어떠한 법적 절차든 환영한다고 X를 통해 전했다. 앞서 저스틴 선이 FDT 자금 상환 능력에 대해 우려를 제기한 후 FDUSD가 하락, 디페깅이 발생했다.   [美 재무장관 블록체인·스테이블코인 등 규제적 장애물 재검토]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가 9일(현지시간) 은행협회 컨퍼런스에 참석, 블록체인, 스테이블코인 및 새로운 결제 기술의 혁신을 방해할 수 있는 규제를 재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 자본시장이 놀라운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혁을 고려할 것이다. 행정부의 목표는 월가 뿐만 아니라 메인 스트리트에도 이익이 되고 경제성장이 촉진되는 보다 균형 잡힌 규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금융 포용성은 규제 개혁 비전에 따른 우선순위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매직에덴, 온체인 암호화폐 거래 앱 슬링샷 인수] NFT 마켓플레이스 매직에덴(ME)이 온체인 암호화폐 거래 앱 슬링샷(Slingshot)을 인수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인수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매직에덴은 이번 인수를 통해 암호화폐 직접 트레이딩 방식 확대와 함께 중앙화 거래소(CEX)와의 직접 경쟁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美 FOMC 3월 회의록 관세 정책, 인플레이션 상승 초래할 것] 미국 연준이 공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2025년 3월 회의록에 따르면 FOMC 위원들이 올해 미국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 상승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전망했다.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이 더 오래 지속되고 경제 성장과 고용 전망이 악화되는 경우 연준의 선택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도 내다봤다. 또 경제 전망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금리를 동결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연준은 양적 축소를 대폭 완화하기로 결정했지만, 일부 위원들은 해당 조치가 설득력이 없다고도 지적했다.   [골드만삭스,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발표 후 美 경기침체 전망 철회] 골드만삭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유예 발표 이후 종전 미국 경기침체 확률 예측을 철회했다고 월터 블룸버그가 전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7일 미국이 12개월 내 경기침체에 빠질 확률을 35%에서 45%로 상향한다고 전망한 바 있다.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사람들 두려워하기 때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람들이 두려워하고 있기 때문에 관세 일시 동결을 승인했다고 말했다고 경제 속보 뉴스 X 계정 월터블룸버그가 전했다. 앞서 트럼프는 미국 관세에 보복하지 않는 국가에 90일 관세 동결을 승인하고 상호 관세율을 10%로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관세 동결 국가에 중국은 제외됐으며, 중국에는 125% 관세율이 적용된다.   [닥터둠 루비니 미 연준, 트럼프 무역전쟁서 구원자 역할 안할 것] 대표적인 비트코인 회의론자 닥터 둠 누리엘 루비니(Nouriel Roubini) 미국 뉴욕대학교 교수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트럼프의 무역전쟁으로부터 시장을 구원해주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연준의 신속한 개입을 기대했던 트레이더들은 실망할 수도 있다. 트럼프의 국제무역 관세로 인해 발생한 금융시장 불안정 해결을 위해 연준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며 물론 트럼프 풋 옵션과 파월 풋 옵션 사이에는 치킨 게임이 존재한다. 하지만 파월의 행사가가 트럼프 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즉 파월 풋 옵션은 트럼프가 눈을 깜빡일 때까지 기다릴 것이다. 즉 파월은 트럼프가 행동을 누그러뜨릴 때까지 기다린 이후 시장 변동성 안정을 위해 개입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 애널 ETH ETF 스테이킹 승인 신청 최종 마감일 10월 말]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가 많은 사람이 이더리움 ETF 스테이킹 기능 승인 신청 관련 일정 질문을 했다. 해당 승인이 조기에 이뤄질 가능성도 있지만, 최종 마감일은 10월 말이다. 최종 승인(혹은 거절) 전 중간 마감일은 5월 말 및 8월 말로 예상된다고 X를 통해 전했다. 이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이더리움 현물 ETF 옵션 상품을 승인했다.   [오픈씨, 미 SEC에 NFT 마켓 규제 명확화 촉구] NFT 마켓 오픈씨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NFT 마켓의 규제에 대해 명확히 해줄 것을 촉구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오픈씨는 헤스터 피어스 SEC 암호화폐 태스크포스 팀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NFT 마켓은 변경 불가능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거래가 처리되므로 증권거래법의 다중 판매자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 또한 투자 권유나 사용자 거래 대행 등도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NFT 마켓이 증권법 상의 거래소나 중개업체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점을 SEC가 명확히 해달라고 요구했다. 앞서 SEC는 오픈씨에 대한 조사를 종료한 바 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