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1일 ( 정오 ) 간추린 코인뉴스
[월드리버티파이낸셜 ETH 대규모 매도 소문, 사실무근]
트럼프 일가의 디파이 프로젝트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이 지난 9일 801만 달러 규모의 이더리움(ETH)을 매도했다는 소문은 사실무근이라고 프로젝트 관계자가 말했다. 관계자는 디크립트와의 인터뷰를 통해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이 보유 중인 자산을 매각했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우리는 보유한 어떤 자산도 매도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9일 블록체인 분석업체 룩온체인은 아캄의 데이터를 인용 월드리버티파이낸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주소가 5,471 ETH(당시 시세 기준 약 801만 달러)를 매도했다고 전한 바 있다.
[토큰화 금 시가총액 $20억 근접... 안전자산 선호 현상]
관세 혼란 속에서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눈을 돌리면서 토큰화 금 시가총액이 약 20억 달러까지 치솟았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금 기반 토큰의 시가총액은 9일(현지시간) 기준 20억 달러에 육박, 지난 24시간 기준 5.7% 상승했다. 암호화폐 거래소
CEX.IO 임원 알렉산드르 케리아(Alexandr Kerya)는 금 현물 가격과 함께 토큰화 금 가격 및 거래량 또한 상승하고 있다며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고 실물자산(RWA)이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토큰화 금이 암호화폐 투자자 사이에서 안전자산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美 상장사 셈러사이언티픽 회장 BTC 보유량, 계속해 늘릴 것]
나스닥 상장 의료기술업체 셈러사이언티픽(Semler Scientific, 나스닥 티커: SMLR) 회장 에릭 셈러(Eric Semler)가 비트코인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계속해 비트코인 보유량을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상당한 규모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비트코인 가치는 계속해 상승하고 있고, 가장 중요한 것은 주주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초창기부터 비트코인을 매입하기 시작했다. 앞으로도 계속 그러할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 2월 기준 셈러사이언티픽 보유량은 3,192 BTC로 알려졌다.
[미 SEC-리플, 법원에 항소 보류 요청서 제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이 당사자 간 합의에 따라 항소 진행을 보류해달라고 요청하는 신청서를 법원에 제출했다. 연방 검사 출신 변호사 제임스 K. 필란(James K. Filan)에 따르면 이들의 합의 건은 위원회의 승인을 대기 중으로, 리플은 SEC 소송 관련 준비서면을 마감일인 4월 16일(현지시간) 제출하지 않을 계획이다.
[트럼프, 국세청 디파이 규제 철회안 곧 서명 예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세청(IRS)의 디파이 브로커 규정 철회 결의안에 곧 서명할 것으로 보인다고 크립토인아메리카 진행자 엘리노어 테렛이 업계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전했다. 상원에서 공동 결의안을 발의한 상원의원 테드 크루즈가 서명식에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말 상원이 해당 결의안을 찬성 70표, 반대 28표로 통과시킨 바 있다. 디파이 브로커 규정은 디파이 분야 브로커에게 디지털자산 판매에 따른 총 수익을 보고하도록 하는 것으로, 암호화폐 업계는 줄곧 규정 철회를 요구해왔다.
[미 SEC, 헬륨 개발사 노바랩스 미등록 증권 판매 혐의 소송 철회]
탈중앙화 통신 네트워크 프로젝트 헬륨(HNT) 개발사 노바 랩스(Nova Labs)가 블로그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미등록 증권 판매 혐의로 제기한 소송을 철회했다고 전했다. 올해 초 SEC는 노바 랩스가 HNT, MOBILE, IoT 등 미등록 증권을 판매하고 투자자들을 오도했다고 주장,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미 노스캐롤라이나주 의원, 디지털자산 자유법 발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의원 닐 잭슨(Neal Jackson)이 디지털자산 자유법(North Carolina Digital Asset Freedom Act)를 발의했다. 해당 법안은 적격 디지털자산을 합법적인 결제 수단 및 세금 납부 수단으로 분류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비트코인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을 없었으나, 시가총액 최소 7500억 달러, 일일 거래량 100억 달러 이상, 10년 이상의 시장 이력, 검증된 검열 저항성, 작업증명 합의, 중앙기관 부재, 99.98% 이상의 네트워크 가동시간, 최대 공급량 제한 등 조건이 적용됐다.
[미 SEC, 토큰 발행 기업에 상세 공시 권고]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는 증권으로 간주될 수 있는 토큰을 발행하거나 거래하는 암호화폐 회사가 자세한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는 구속력 없는 지침을 발표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기업들이 공시할 때 자사의 사업 내용과 해당 사업에서 토큰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단 SEC는 어떤 암호화폐가 증권으로 정의되는지, 관련 명확한 지침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밝히지 않았다.
[MEV 봇, PROMPT 에어드롭 취약점 공격 119 ETH 탈취]
Yoink라는 이름의 MEV 봇이 PROMPT 에어드롭 취약점을 이용해 약 119 ETH($20만)를 탈취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MEV 공격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블록을 생산하거나 트랜잭션 순서를 조정할 수 있는 주체(예: 채굴자, 밸리데이터)가 특정 방식으로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개입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번 MEV 봇 이슈로 토큰 배포 플랫폼 토큰테이블은 PROMPT 에어드롭 클레임을 일시 중단한 상태다.
[알레오 크로스체인 브릿지 베룰링크, 프레디케이트와 통합]
레이어1 블록체인 알레오(ALEO)가 공식 채널을 통해 이더리움(ETH) 및 알레오 생태계 연결 크로스체인 브릿지 베룰링크가(Verulink)가 온체인 상호작용 솔루션 프레디케이트(Predicate)와 통합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통합에 따라 프레디케이트는 베룰링크에 △실시간 컴플라이언스(규제 준수) 감독 △알레오 ARC-100 규정 준수 △레이어 보안 조치 등을 지원한다. 또 베룰링크는 프레디케이트의 소셜 그래프를 활용, 악의적인 거래를 탐지하고 차단할 수 있게 됐으며, 거래 심사 프로세스도 크게 개선됐다는 설명이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