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미국 기대 인플레이션
미국 기대 인플레이션이 단기적으로 고개를 스멀스멀 들어올리고 있다.
단기적인 1년 내 물가 상승률 예상치는 0.5%p 상승해 3.6%.
중기적인 3년 내 물가 상승률 예상치는 3.0%
장기적인 5년 내 물가 상승률 예상치는 0.1p 하락해 2.9%가 되었다.
소비자들이 내년 가계 재정 상황에 대해 기대하는 수치는 악화되었고, 1년 후 재정 상황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는 가계의 비율이 2023년 10월 이후 최고 수준인 30%로 증가했다.
미국인들은 앞으로 일자리가 점점 줄어들고, 인플레이션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점차 줄어들 것(침체)로 판단하는 듯 하다.
간밤에 주요인사 발언들을 시계열 순으로 정리해보면
1.트럼프가 반도체 및 전자기기 관세가 '보류'되었다고 이야기
2. 트럼프가 나 그런 적 없음. 부과할 거임. 다만 유연하게 할 듯?
3. EU와 보복관세 법까지 바꿔가며 90일 확정
4. 윌러 이사의 비둘기 발언
📌대규모 관세 시나리오
근원 PCE가 올해 4~5%까지 상승할 수 있음. 기업들의 원가 상승이 소비자 가격에 전가되는지에 따라 변동.
인플레이션 효과는 일시적(transitory)일 가능성이 크고, 지나치게 우려할 필요 없음.
이유는 여전히 기대인플레가 잘 고정되어 있기 때문. 게다가 경제가 실질적으로 둔화되는 것도 포함
=>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있다 하더라도 금리인하를 더 우선할 수 있다는 입장
📌소규모 관세 시나리오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작으면(연 3%)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오래 걸릴 수 있고 정점이 낮을 수 있으나 소멸속도도 느릴 수 있음.
2%에 안정적으로 수렴한다면 금리인하를 고려할 수 있음
📘정리
미국인들 자체는 경기가 안 좋다고 생각하고, 연준도 이를 알고 있으나 연준 풋에 대한 기대감이 계속해서 시장을 밀어올린다.
High Risk & High Reaturn 이다.
#국제

1444
1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