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Count3
7시간 전
[TELEGRAM] 간밤에 있었던 관세 관련 주요 발언들 🔘트럼프 대통령 주요 발언 - 자동차 제조업체에 일부 미국 관세 면제: FT - 자동차 부품, 자동차 관세 조정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 중국과 공정무역협정을 맺을 것(협상을 할 것) - 공정한 거래가 될 것이지, 바가지 씌우기 거래는 아닐 것 - 앞으로 2, 3주 안에 중국에 대한 관세가 결정될 것 - 우리가 중국과 협상을 하지 않아도 괜찮다, 거래가 없다면 가격(관세)를 설정할 것 - 중국과 미국 사이에 직접 접촉중 - 중국 관세 인하도 그들에게 달려 있다 - 의심할 여지 없이 중국과 잘 지낼 것이다 - 파월은 금리를 인하하지 않음으로써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 파월에게 전화할 수도 있다 - EU, 중국이 미국을 뜯어내고 있다 - 우리는 기업이나 국가와 협상이 없다면 관세를 정할 것 - 사우디 순방 후 푸틴과 만날 가능성이 가장 높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와 거래가 존재한다고 믿습니다. - 카니 부장관과 대화를 나눴고 좋은 대화를 나눴다 ↳ 캐나다와 협상중이며 캐나다 자동차의 관세는 25%로 인상될 수 있다. 🔘美 재무장관 베센트 주요 발언 -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시스템 재조정 조치는 중국과의 교류를 위한 시작 - 중국은 경제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며, 때로는 외부의 압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 - 무역 논의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중국 상황이 완화될 필요가 있다. - 중국에 대한 관세 인하에 대한 WSJ 기사에 대해 언급을 거부했지만, 상호 방식으로 관세가 인하되더라도 놀라지 않을 것 - 미국과 중국 모두 상대방과 대화하기를 기다리고 있으며, 양측 모두 현재의 관세 상황이 지속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 미국과 중국 사이에 빅딜 가능성이 있다 - 트럼프의 일방적인 중국 관세 인하 제안은 없다 - 저는 일본이 외환거래에 관한 G7 합의를 존중할 것으로 기대 - 우리는 계속해서 강력한 달러 정책을 견지하고 있으며 시장에 대한 조정을 진행 (달러 약세 전환) ↳ 달러 강세 정책은 자본 흐름과 신뢰를 끌어들이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 것 🔘WSJ 발 관세 소식 - 무역 전쟁 완화를 위해 경우에 따라 절반 이상 중국 관세 인하 고려 ↳ 단 전략적 이익에 부합하는 품목에는 100% 관세 부과 검토, 국가 안보 위협으로 간주되지 않는 품목에 35% 관세 부과 검토 - 중국과의 회담이 있을때 까지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낮추는 방안을 검토중 ➡️모든 조치는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중국 회담과 연계될 것. ↳ 베센트, 완전한 중국 무역 협상은 2-3년이 걸릴 수 있다. - 트럼프 대통령은 베센트, 러트닉 우려에 파월 해고하지 않기로 결정 #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