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6일 ( 정오 ) 간추린 코인뉴스
[암호화폐 VC 록어웨이X, $1.25억 펀드 조성...솔라나 생태계 투자]
암호화폐 벤처캐피털(VC) 록어웨이X가 솔라나 생태계 스타트업 투자를 위한 1.25억 달러 규모 펀드를 조성했다고 포브스가 전했다. 록어웨이X는 2018년 솔라나에 투자한 이후 20억 달러 규모 자산을 운용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테더, 트론 12개 주소서 2,867만 USDT 동결]
테더가 12개 트론 주소에서 총 2,867만 USDT를 동결했다고 블록체인 전문 보안 업체 슬로우미스트 산하 플랫폼 미스트트랙이 전했다.
[레볼루트 작년 영업이익, 전년 比 150% ↑...암호화폐 사업 성장 영향]
영국 런던 소재 네오뱅크이자 핀테크 기업 레볼루트가 지난해 14억 달러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이는 전년 대비 149% 증가한 수치로, 암호화폐 사업의 빠른 성장이 이익 확대를 견인했다고 레볼루트 측은 설명했다.
[플룸, 법무총책임자에 美 SEC 출신 선임]
규제 적격 실물자산(RWA) 초점 블록체인 플룸(PLUME)이 신임 법무총책임자(General Counsel)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출신인 살만 바나이(Salman Banaei)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그는 SEC에서 증권거래소, 대체거래시스템(ATS), 증권 기반 스왑 시스템을 감독하고 암호화폐 관련 법률 및 정책 자문을 수행했다. 그 전에는 유니스왑(UNI) 랩스 정책 총괄, 체이널리시스 및 S&P 글로벌에서 블록체인 응용 책임자를 역임한 바 있으며, 대출 및 탄소 시장 관련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또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도입된 도드-프랭크 파생상품 개혁 정책(Dodd-Frank Act)을 주도했으며, 전통금융과 디파이 주요 기업에 약 10년 이상 자문한 경력도 갖고 있다.
[바이낸스 알파, DOLO 추가]
바이낸스 알파가 돌로마이트(DOLO)를 추가했다. 바이낸스 알파 대상 토큰은 초기 프로젝트 중 커뮤니티, 시장 트렌드 등을 반영해 선정된다. 추후 상장이 100% 보장되는 건 아니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현물 ETF, 그야말로 BTC 폭식중”]
블룸버그 수석 ETF 애널리스트 에릭 발추나스가 X를 통해 “그야말로 비트코인 ETF가 폭식하고 있다. 지난 3일 동안 비트코인 현물 ETF는 약 25,000 BTC를 매수했다. 블랙록 IBIT는 전날 하루 만에 6억 4,300만 달러 규모의 자금이 유입되면서 전체 ETF 중 1위를 기록했다. 주목해야 할 점은 자금 유입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점이다. 단기 수익을 노린 베이시스 트레이드 백(basis trade back) 전략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테더, 이탈리아 축구 구단 유벤투스 지분 8%→10% 확대]
테더가 산하 투자 부문인 테더 인베스트먼트를 통해 이탈리아 세리에A 축구 구단 유벤투스(JUV) 지분을 10%로 확대했다고 밝혔다. 앞서 테더는 유벤투스의 지분 8.2%를 인수한 바 있다.
[비트겟 COO “러시아 거래소 설립은 블록체인 잠재력 수용 시사”]
비트겟 최고운영책임자(COO) 부가 유시 자데(Vugar Usi Zade)가 “러시아가 초우량 투자자를 겨냥한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을 만들기로 한 것은 블록체인의 경제적 잠재력을 수용하면서도 그에 따르는 리스크를 통제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러시아 정부는 이용 자격을 초우량 투자자(super-qualified)로 제한하는데, 사실상 기관 투자자 또는 국영 기업만 해당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제한적 모델은 과거 싱가포르의 초기 라이선스 거래소 방식과 유사하다. 러시아의 이번 실험 성패는 두 가지 요소에 달려있다. 첫째는 유동성 확보다. 개인 투자자를 배제하면 이 거래소는 바이낸스나 코인베이스 등 해외 거래소에 비해 경쟁력이 약할 것이다. 둘째는 국제사회의 반응이다. 유럽연합이나 미국이 이 거래소를 제재 회피 수단으로 간주할 경우, 규제를 중시하는 글로벌 파트너들은 협력을 꺼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시도는 이란, 베네수엘라 같은 제재 대상 국가들도 비슷한 모델을 도입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분석 “거래소 BTC 보유량 감소세 뚜렷…상장기업들 매수 영향”]
피델리티 디지털 애셋이 X를 통해 “기업들의 BTC 매수가 늘면서 거래소의 BTC 보유량이 확연히 줄어들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점차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거래소 잔액은 현재 260만 BTC로, 지난 2018년 11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지난해 11월 이후 거래소에서 42.5만 BTC가 빠져나갔다. 또 미국 대선 이후 상장 기업들은 약 35만 BTC를 매수했다. 또 이들 기업은 2025년 현재까지 월 평균 30,000 BTC를 매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더파이, 네오뱅크로 전환…은행 서비스 추가]
디파이 프로토콜 이더파이(ETHFI)가 은행 서비스를 신규 출시하면서 네오뱅크로 전환한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이에 따라 이더파이는 리스테이킹을 포함해 예금, 이자서비스 등을 지원한다. 또 이용자는 앱을 통해 공과금 납부 및 급여 관리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수이, 엑스머니와 SUI 결제 지원 마스터카드 출시]
레이어1 블록체인 수이(SUI)가 금융 플랫폼 엑스머니 및 엑스포탈과 협력을 통해 SUI 결제를 지원하는 가상 마스터카드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해당 카드는 유럽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카드를 애플페이 및 구글페이에 연동해 사용할 수 있다.
[폴리곤, PoS체인 생태계 프로젝트 지원 애그리게이터 프로그램 출시]
폴리곤(POL)이 폴리곤 PoS체인 생태계 내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애그리게이터 프로그램을 출시한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애그레이어 브레이크아웃(Agglayer Breakout)으로, 선정된 프로젝트는 POL 스테이커에게 POL 공급량의 5~15%를 에어드롭할 수 있다.
[야요이 쿠사마 호박 덕체인서 아트 샤드로 출시]
텔레그램 기반 AI 체인 덕체인이 공식 채널을 통해 야요이 쿠사마의 대표작 중 하나인 호박(Pumpkin2, 1990)이 아트 샤드 형태로 덕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출시된다고 밝혔다. 이번 아트 샤드는 라이브 아트에서 발행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덕체인 생태계 토큰인 DUCK를 사용, 민팅에 참여할 수 있다. 한편 덕체인은 이번 협업을 통해 디지털 아트 산업에서의 입지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야요이 쿠사마는 루이비통, 애플 등 글로벌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예술을 기술의 세계로 확장해오고 있다.
[미 SEC 암호화폐 TF, 온도파이낸스 만나 토큰화 증권 논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암호화폐 태스크포스팀이 24일(현지시간) 온도파이낸스(ONDO)와 만나 토큰화 증권 발행에 대해 의논했다고 밝혔다. 이날 자리에는 로펌 데이비스 폴크 앤 워드웰(Davis Polk & Wardwell) 대표도 참석했다. SEC와 온도파이낸스는 토큰화 증권 모델 구조화, 등록 및 브로커-딜러 요건, 시장 규정, 금융범죄 컴플라이언스 등에 대해 논의했다.
[톤재단, CEO로 문페이 공동설립자 영입]
텔레그램 디오픈네트워크(TON, 톤) 재단이 문페이 공동설립자 막시밀리안 크라운을 최고경영자(CEO)로 영입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크라운은 문페이에서 CFO 겸 COO를 역임한 바 있다.
[네이로, 실제 모티브 시바견 IP 라이선스 독점 확보]
이더리움(ETH) 기반 밈코인 프로젝트 네이로(NEIRO)가 X를 통해 자신들이 모티브로 삼은 시바견 네이로에 대한 독점적 지식재산권(IP) 라이선스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네이로는 “라이선스는 도지(카이로) IP 관리사인 온더도지(ownthedoge)를 통해 확보했으며, 도지의 실제 주인인 사토 아츠코(Atsuko Sato)의 승인도 받았다”고 설명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1
1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