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Count3
19시간 전
4월 26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원컨퍼메이션 설립자 비탈릭, 최고의 암호화폐 리더...ETH 여전히 유망] 암호화폐 벤처캐피털 원컨퍼메이션 설립자 닉 토마이노가 “비탈릭 부테린보다 더 나은 암호화폐 네이티브 리더는 없다고 평가했다. 그는 자신의 X를 통해 비탈릭은 자본주의를 싫어하는 인물이 아니다. 그는 단지 돈과 세간의 주목을 좇지 않을 뿐이며, 다양한 접근과 경쟁을 환영하는 인물”이라고 전했다. 이어 “이더리움 재단(EF)은 지금까지 개발자 중심의 중립적 인프라 구축에 집중해왔지만, 투자자 관점 역시 점차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비탈릭도 공감하고 있다. 디파이와 NFT에 대한 포용력이 부족하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는데, EF는 마케팅 관점에서 관련 사용 사례를 더 많이 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립성, 투명성, 포용성 면에서 비탈릭보다 나은 암호화폐 네이티브 리더는 없다. 경쟁이 치열하지만 이더리움이 여전히 기대할 만한 플랫폼임은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美 앨라배마주, 코인베이스 집행 조치 철회] 미국 앨라배마주가 코인베이스에 대한 집행 조치를 철회했다고 코인베이스 최고법률책임자(CLO) 폴 그레왈이 X를 통해 밝혔다. 앞서 앨라배마주 증권위원회(ASC)는 코인베이스의 스테이킹 프로그램이 주 증권법을 위반할 소지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레디오, RDO 토크노믹스 공개... 커뮤니티에 8% 할당] 이더리움 레이어2 레디오(Reddio)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자체 토큰 RDO의 토크노믹스를 공개했다. RDO 총 공급량은 100억 개이며, 보안 및 네트워크 인센티브에 25%, 생태계 성장에 22.76%, 기여자에게 21.8%, 전략적 투자자에게 15.48%, 커뮤니티에 8%, 트레저리에 6,96%가 할당된다.   [미 재무장관 中 무역 협상 2~3년 걸릴 듯] 월터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가 중국과의 무역 협상을 완전히 마무리하는 데는 2~3년이 걸릴 수 있다고 전했다.   [美 LA 경찰국, 절도 사건 연루 $270만 BTC 채굴기 압수] 미국 로스엔젤레스 경찰국(LAPD)이 화물 절도 사건 추적 중 270만 달러 상당의 BTC 채굴기를 압수했다고 디크립트가 보도했다. LAPD에 체포된 절도범 2명은 남미 범죄 조직과 연관된 것으로 밝혀졌다.   [분석 BTC 강세 전환...알트는 비실비실] BTC가 강세 전환에 돌입한 반면 알트코인은 아직 상승 여력이 부족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코인데스크는 BTC는 이치모쿠 클라우드 지표 상 상단 경계를 돌파하며 상승 모멘텀 전환을 확인했다. 주요 지지선은 88,550 달러이며, 심리적 저항선인 10만 달러를 돌파할 경우 10.9만 달러까지 노려볼 수 있다. 반면 XRP, DOGE, ADA, ETH, SOL 등 주요 알트코인들은 아직 이치모쿠 클라우드 지표 상단 경계를 돌파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에이셔, $1억 생태계 펀드 6차 지원 프로젝트 발표...RWA 중심] 탈중앙화 클라우드 GPU 네트워크 에이셔(ATH) 공동 설립자 마크가 X를 통해 1억 달러 규모 생태계 펀드의 6차 지원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주로 실물자산(RWA) 분야에 초점을 맞췄다는 설명이다. 지원 프로젝트에는 업사이드 OS, LNT-주파이낸스(Zoo Finance), 핀링크(Pinlink), AGIXBT, 유니프AI 네트워크(UnifAI Network) 등이 있다.   [분석 BTC 도미넌스 증가, 알트 시즌 늦춰] BTC 도미넌스가 증가하면서 알트코인 시즌 도래가 늦어지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DL뉴스는 크립토 인사이트 그룹 보고서를 인용해 헤지펀드 매니저들은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 증대로 BTC 도미넌스가 증가하면서 알트 시즌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저해되고 있다고 내다봤다. 이들은 알트 시즌 도래가 늦어지는 3가지 이유로 ▲거시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 투자자들이 BTC를 알트코인보다 더 안전한 피난처로 인식 ▲BTC에 비해 규제 명확성 부족 ▲실망스러운 성과 등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한편 설문조사는 50억 달러 이상을 운용하는 헤지펀드 매니저 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라, ZORA 에어드롭 클레임 페이지 오픈] NFT 마켓플레이스 조라(ZORA)가 에어드롭 클레임 페이지가 오픈됐다고 X를 통해 전했다. 별도의 클레임 종료 기한은 없다고 조라는 설명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