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30일 ( 정오 ) 간추린 코인뉴스
[코인베이스 베이스, 1단계 롤업 달성]
코인베이스의 레이어2 네트워크 베이스(Base)가 1단계 롤업에 도달했으며, 이에 따라 보안위원회가 조성됐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톰 비에이라 베이스 제품책임자는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1단계 롤업으로 인해 베이스에서 허가없는 오류 증명이 가능해졌다. 완전한 탈중앙화를 향한 길을 마련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뉴욕 검찰, 사무라이 월렛 설립자 소송 철회 고려 중]
뉴욕 검찰이 암호화폐 지갑 앱인 사무라일 월렛(Samourai Wallet)에 대한 소송 철회를 고려 중이라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앞서 미국 법무부는 사무라이 월렛 공동 설립자 케오네 로드리게즈(Keonne Rodriguez)와 윌리엄 로네건 힐(William Lonergan Hill)에 불법 거래 및 1억 달러 이상 범죄 수익 세탁 혐의로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피델리티 ETH, 1분기 부진...매수 기회]
1분기 ETH의 부진이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피델리티는 보고서를 통해 다수 온체인 지표 상 ETH의 전망이 낙관적이다. ETH의 MVRV-Z 점수(코인의 시가총액에서 실현 시가총액(RV)을 뺀 값을 시가총액의 표준 편차로 나눠 계산한 것)는 현재 저평가 영역에 진입해 있으며, NUPL(미실현 순손익) 지표 또한 마이너스를 가리키면서, 카피츌레이션 영역에 놓여있다. 이 가운데 이더리움 레이어2 활성 주소 수가 1360만 개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이는 모두 ETH의 낙관적인 전망을 뒷받침한다고 분석했다.
[미 텍사스 법원, 재무부 OFAC의 토네이도캐시 再제재 영구 금지 판결]
미국 텍사스 법원이 재무부가 토네이도캐시에 내린 제재는 위법이라며 해당 기관의 관련 서비스 제재 집행을 영구적으로 금지한다고 판결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지난해 말 미국 항소법원은 재무부의 토네이도캐시 제재는 재무부 권한을 넘어섰으며 이는 위법이라고 판결한 바 있다. 다만 당시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가 토네이도캐시를 제재한 방식 등에 따라 향후 해당 서비스가 다시 블랙리스트에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지난해 항소법원의 판결 대로 모든 제재가 불법으로 간주돼 무효화 되어야 한다는 주장의 소송이 제기된 바 있다. 이러한 가운데 텍사스 법원은 해당 사건은 이미 논쟁의 여지가 없다. OFAC의 토네이도캐시 제재는 위법이며, 해당 기관은 영구적으로 토네이도캐시를 제재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유럽 네오뱅크 벙크, 암호화폐 투자 서비스 출시... 크라켄과 협력]
유럽 대표 네오뱅크 벙크(Bunq)가 암호화폐 시장에 진출, 암호화폐 투자 서비스인 벙크 크립토(Bunq Crypto)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용자는 서비스를 통해 BTC, ETH, SOL 등 300종 이상의 암호화폐에 투자할 수 있다. 벙크 크립토는 네덜란드, 프랑스, 스페인, 아일랜드, 이탈리아, 벨기에 이용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며 이를 위해 크라켄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벙크 측은 전세계적으로 암호화폐에 대한 개인 투자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며 향후 미국, 영국 뿐만 아니라 유럽 경제지역에 걸쳐 점차적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운영 트루스소셜, 유틸리티 토큰 출시 고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소셜미디어 기업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이 암호화폐 출시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트루스소셜은 29일(현지시간) 주주들에 서한을 발송, 보상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트루스 월렛과 함께 유틸리티 토큰 도입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해당 토큰은 우선 트루스+ 구독 비용 결제에 사용되며, 이후 트루스 서비스 및 상품 결제에도 적용된다는 설명이다. 이와함께 기업은 주식과 암호화폐를 결합한 ETF 출시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伊 중앙은행 암호화폐 성장, 투자자·금융 안정성에 위험 초래]
이탈리아 중앙은행이 보고서를 발표, 비트코인 등 가격 변동성이 높은 암호화폐의 성장은 투자자 뿐만 아니라 금융 안정성에도 잠재적 위험을 초래한다고 진단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보고서는 암호화폐의 변동성 및 경제와의 광범위적 적용 사례 증가 등을 지적했다. 또한 비금융 기업이 비트코인을 보유하는 추세에 대해 언급하며 비트코인이 주가를 지탱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인해 시장 가격 변동성에 익스포저(노출)된다고 전했다.
[前 미 하원 금융위원장 올여름, 암호화폐 입법의 분기점 될 것]
더블록에 따르면 패트릭 맥헨리(Patrick McHenry) 전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위원장 블룸버그와의 인터뷰를 통해 “디지털 자산(암호화폐) 정책은 이제 본격적인 실행 국면에 들어섰다. 올여름은 암호화폐 입법의 분기점이 될 것이며 스테이블코인과 암호화폐 시장 구조에 관한 법안 처리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입법이 뜨겁게 진행되는 위키드 핫 서머가 될 것(wicked hot summer)”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 로스틴 베넘(Rostin Behnam)은 “현재 스테이블코인의 준비금 대부분이 미 국채에 연동돼 있다는 점에서 규제 측면에서 우려가 크다. 암호화폐 시장 구조법안보다는 스테이블코인 규제안이 비교적 빠르게 통과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피델리티 디지털 애셋 비트코인 여전히 저평가 구간...중기 강세 전망 유지]
코인텔레그래프가 피델리티 디지털 애셋 보고서를 인용해 비트코인은 여전히 저평가 구간에 있으며 중기적 관점에서 강세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현재 BTC는 ‘낙관적 구간’에 진입했다. BTC 온체인 지표인 야드스틱(Yardstick) 차트를 보면 올해 1분기 해당 지표는 표준편차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이는 BTC가 신고가를 향한 상승 흐름을 보일 수 있는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BTC 장기 보유자들 또한 보유 비중을 줄이기보다 유지하거나 늘리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최근 달러 약세도 이어지면서 BTC 등 위험 자산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단, BTC가 급등한 이후 블로우 오프 탑(blow-off top, 급등 후 급락 반전) 가능성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분석 “ETH 온체인 지표, 여전히 약세 신호 지속]
비인크립토가 복수 애널리스트들을 인용해 “이더리움(ETH)이 일주일간 10% 이상 상승하며 강세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주요 온체인 데이터에서는 약세 신호가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매체는 “ETH의 시장 추세의 강도를 측정하는 ADX(Average Directional Index)는 이틀 전 39에서 현재 24.9로 떨어진 상태다. ADX가 25를 상회하면 강세 편향 상태를 의미하지만 20 이하로 떨어질 경우 약세 흐름 또는 횡보 국면에 진입했음을 시사한다. 방향성 지표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 매수세를 나타내는 +DI는 현재 22.71로 3일 전 31.71에서 지속 하락 중이다. 반면 매도 압력을 나타내는 -DI는 현재 17.68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ETH의 매도 압력이 매수세보다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ETH의 주요 저항선은 1,828 달러 수준으로 이를 돌파할 경우 최대 2,320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 반면 하단 지지선인 1,749 달러를 이탈한다면 이러한 전망은 무효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1
39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