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Count6
1일 전
2월 21일 ( 정오 ) 간추린 코인뉴스 [비트판다 CEO 트럼프 주도 美 암호화폐 정책, 전세계 따라갈 수 밖에 없을 것]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판다(Bitpanda) CEO 에릭 데무스(Eric Demuth)가 미국의 정책적 변화로 인해 은행과 투자자들이 암호화폐 시장에 더욱 깊숙이 투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기적 포지션이 굳건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암호화폐 시장이 근본적 변화를 겪고 있다. 빠르게 움직이는 투기적 베팅에서 장기적이고 고정된 투자로 이동하고 있다. 덜 변동적이고 더 헌신적인 기관의 자본이 유입되고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 하에 미국 정부의 공격적인 암호화폐 수용 정책이 글로벌 시장으로 하여금 이러한 상황에 적응하도록 강요하고 있다. 이는 선택사항이 아닌 의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알트코인은 비트코인 만큼 빠르게 도입되지 않겠지만, 미국 규제가 진화하고 암호화폐 ETF가 승인 받게 되면 상황 또한 변화할 것이라며 다음 도입 대상은 미국의 은행들일 것이다. 암호화폐가 미국 경제 및 금융 정책의 핵심이 되면서 세계 최대 금융권이 암호화폐를 주목하고 있다. 이는 은행들도 이제는 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 관련 무언가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이더리움 재단, 커뮤니티 소통 위해 소셜미디어 매니저 고용 검토] 더블록에 따르면 이더리움 재단 관계자 조쉬 스타크(Josh Stark)가 커뮤니티와의 소통 부족 비판에 대응하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관리할 책임자를 고용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해당 직무는 X, 페이스북, 링크드인, 파캐스터, 렌즈 등의 재단 계정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하게 된다. 구인공고에는 이더리움 재단은 회사도 아니고 전통적인 비영리 단체도 아니다. 우리는 이더리움을 통제하지 않으며, 이더리움 기술의 중요 개발을 지원하는 유일한 조직도 아니다. 이더리움 생태계는 이를 지원하는 조직, 개인, 회사로 구성돼 있고, 우리는 이것의 일부일 뿐이다. 우리의 사명은 이더리움의 장기적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이라는 내용이 쓰여져있다.   [실크로드 설립자 로저 버, 세금 문제로 종신형 받아선 안 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사면된 실크로드 설립자 로스 울브리히트(Ross Ulbricht)가 자신의 X를 통해 비트코인닷컴 전 CEO 로저 버(Roger Ver)에 대해 언급하며 누구도 세금 문제로 인해 종신형을 선고받아서는 안 된다. 그에게 세금을 내게 한 이후 문제를 끝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로저 버는 내가 가장 힘들때 도와준 사람이다. 지금 그에게는 우리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로저 버는 5000만 달러 규모의 탈세 혐의로 기소됐다.   [프랭클린템플턴, BTC·ETH 상장지수상품 EZPZ 출시] 글로벌 자산운용사이자 비트코인 현물 ETF 발행사 프랭클린템플턴(Franklin Templeton)이 공식 X를 통해 비트코인·이더리움(ETH) 상장지수상품(ETP)인 프랭클린 크립토 인덱스 ETF(EZPZ)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EZPZ는 BTC 시가총액 87%, ETH 시가총액 13%를 반영하는 ETF이며, 새로운 암호화폐도 지수에 포함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외신 SBF, 親 트럼프로 입장 선회] 암호화폐 뉴스 전문 X 계정 db가 FTX 설립자 샘 뱅크먼 프리드(SBF)와 미국 매체 뉴욕선(The New York Sun)과의 인터뷰를 인용해 SBF는 수감된 후 진행된 첫 인터뷰에서 반(反) 바이든, 친(親) 트럼프 입장을 보이고 있다. 아주 편리하다고 전했다. SBF는 2020년 미국 민주당에 4,000만 달러, 바이든 캠프에 520만 달러를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SBF는 사기 등 복수 혐의로 25년형을 선고받고 브루클린 메트로폴리탄 구치소(MDC)에서 복역 중이다. 앞서 미국 시민단체는 SBF가 사면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전한 바 있다.   [유럽중앙은행, CBDC 결제 시스템 개발 가속] 유럽중앙은행(ECB)이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결제 시스템 개발을 가속하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결제 플랫폼 개발과 기존 시장 통합 등 두 단계를 거쳐 진행될 예정이다. 코인텔레그래프는 CBDC는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국가 기관의 금융 흐름 통제 등 우려와 함께 법정화폐 인플레이션 메커니즘을 해결할 수 없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ECB는 트럼프 행정부 구성 이후 디지털 유로(CBDC)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FB 기자 美 SEC, 그레이스케일 XRP 현물 ETF 신청 10/18까지 응답해야]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이 X를 통해 그레이스케일의 XRP 현물 ETF 신청서(19b-4)가 연방 관보(Federal Register)에 정식 게재됐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오는 10월 18일(현지시간) 또는 그 이전에 그레이스케일의 XRP 현물 ETF 신청에 응답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전했다. 그레이스케일은 지난 14일 XRP 현물 ETF 신청서를 제출한 바 있다.   [美 20여개 주서 암호화폐 수용 법안 추진...애리조나가 선두] 미국 20여개 주 의원들이 비트코인 준비금 조성, 미청구 암호화폐를 현금 대신 현물로 상환하는 안 등 암호화폐 수용 법안들을 추진하고 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이 중 암호화폐 수용 법안 추진 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 애리조나로 알려졌으며, 유타와 오하이오·앨라배마·텍사스 등도 처리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매체는 당초 거래소들은 투자자들이 청구하지 않은 암호화폐를 현금으로 전환 후 주에 반환, 투자자들에게 상환해야 했다. 애리조나가 추진 중인 법안이 통과되면 미청구 암호화폐가 그대로 주 재무부로 입금돼 주 차원의 암호화폐 보유가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마이클 세일러 美 정부, 미래 주도하려면 BTC 공급량 20% 매입해야] 스트래티지(구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설립자 마이클 세일러가 미국 보수주의 행사인 CPAC에서 미국 정부는 미래 디지털 경제를 주도하기 위해 비트코인 공급량의 20%를 매입해야 한다. 장기적으로 전 세계에서 한 국가만이 BTC 네트워크의 20%를 매입할 수 있는 여지가 있고, 그 국가는 미국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크라켄·크립토닷컴 스테이블코인 출시 예정”] 블룸버그가 소식통을 인용해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과 크립토닷컴이 자체 스테이블코인 출시를 준비 중이라고 보도했다. 매체는 “테더(USDT)가 유럽의 암호화폐 규제 법안(미카)에 준용하는 라이선스를 갖고 있지 못한 가운데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이 공백을 공략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유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암호화폐 거래소 및 플랫폼은 USDT를 상장폐지해야 한다. 크라켄은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쪽으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 스테이블코인은 크라켄 아일랜드 지사에서 발행을 맡을 것이다. 크립토닷컴은 올해 3분기에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커네리 펀드 ‘라이트코인 ETF’ 미 증권예탁결제원에 등록] 암호화폐 마켓 인사이트 플랫폼 언폴디드(Unfolded)가 X를 통해 “커네리 펀드의 라이트코인(LTC) ETF가 티커 LTCC로 미국 증권예탁결제원(DTCC)에 등록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앞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지난달 30일 커네리 펀드의 LTC ETF 19b-4(심사요청서) 신청을 정식 접수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일루비움, 운영난에 구조조정 진행] 디크립트에 따르면 NFT 게임 프로젝트 일루비움(ILV)이 매출 부진으로 인해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남은 직원들에 대해서는 임금 삭감 조치가 내려졌다. 매체는 “일루비움은 지난해 3개의 게임을 내놓았는데 이용자 반응이 좋지 않았다. 이후 일루비움은 지난해 12월 직원 임금 상한을 85,000 달러로 제한하는 조치를 내놨다. 하지만 운영난이 심화되면서 결국 구조조정을 단행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